티스토리 뷰

목차



     

     

    출산하고 아이를 양육하기 위해서는 경제적으로 많은 부담이 됩니다. 이런 예비 부모님들의 경제적 비용을 줄여 줄 수 있는 것이 바로 출산 지원금입니다. 저출산으로 인해 2024년 지원되는 혜택이 대폭 늘어났습니다. 그럼 출산지원금 신청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산지원금안내 사진

     

    1. 출산 지원금 안내

    임신한 사진

     

      ● 지원대상: 출산을 앞두고 있거나 출산을 한 임산부

      ● 출산 지원금 금액

        10만원에서 최대 3000만원이상

      ● 출산 지원금 금액은 지역별로 상이하다. 

        강원도가 가장 많은 3000만원의 지원금을 지급한다.

        지역별 출산 지원금은 임신육아 종합포털: 아이사랑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출산 지원금 신청방법

    ① 신청기간

       신청시기 출생신고와 동시에 또는 출생신고 이후

    ② 신청방법

    ● 방문 : 출생자의 주민등록 주소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시에는 본인 또는 대리인이 신청가능합니다.

     

    ● 온라인: 정부 24 출산관련 서비스 통합 처리 신청(행복출산)

     출생신고와 함께 각종 출산지원 서비스를 읍면동 또는 정부24에서 한 번에 통합 신청하는 서비스입니다.

     통합처리 되는 서비스로는 양육수당, 해산급여, 공공요금(전기료,도시가스료,지역난방비) 경감, 출산지원금, 첫만남 이용권, 아동수당, 저소득층 기저귀·조제분유 지원, 여성장애인 출산비용 지원, 부모급여, KTX 다자녀 행복 할인 등이 있다.

    2024년 출산관련 서비스를 통합처리 신청은 아래의 이미지를 누르시면 쉽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

     

    출산관련 서비스 통합 처리 신청서 다운로드

    출산관련 서비스 통합처리 신청서.hwp
    0.08MB

     

     

    3. 첫만남 이용권

    아기사진아기사진아기사진

     

    ● 지원대상: 출생한 모든 아이

      신청기간: 출생후 1년이내

      지원금액

        첫째는 200만원, 둘째부터는 300만원 지급

        국민행복카드 일시금으로 200만원 포인트로 지급

      사용처

       산후조리원, 육아용품, 의료비, 식음료비등 다양하게 사용가능

    작년까지는 아이 한명에 200만원을 지급하였다. 올해부터는 둘째부터는 300만원으로 지원금액을 늘렸다. 

    임신후부터 다양한 혜택을 받을수 있는 국민 행복카드 신청하는 방법은 아래의 버튼을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부모급여

    육아사진육아사진육아사진

     

      신청기간: 출생일로부터 60일 안에 신청

      지원금액

       0세(12개월): 월 100만원지금

       1~2세(13개월~24개월) 월 50만원 지급

      신청방법: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신청가능합니다. 

     

    5. 요양비(출산비)지원

    아기와엄마사진

     

    요양비 지원은 의료급여기관(산부인과)외의 장소에서 출산한 임산부에게 일정 금액을 지원하는 제도

      지원대상

    출산후에 산모의 건강을 관리하는 것은 아주 중요합니다. '요양비 지원'은 의료급여기관(산부인과등) 외의 장소에서 출산한 임산부에게 일정 금액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지원대상

       요양기관이아닌 자택에서 출산한 건강보험 가입자 혹은 의료급여 수급자

      혜택

       자녀 수 상관없이 출산할 때마다 25만원 지금

      신청방법

       건강보험가입자: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신청

       의료급여수급자: 살고 있는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신청 

    반응형